수필 플롯과 미의식 / 안성수
수필 텍스트 속에는 기본적으로 두 가지 이야기가 들어있다. 하나는 소재 자체로서의 이야기(스토리)이며, 다른 하나는 그 소재의 배열순서를 예술적으로 변형하여 재조직한 문학적 이야기(플롯)이다. 이때, 스토리는 작가가 경험에서 가져온 생生 소재에 불과한데 비해, 플롯은 그것을 통찰과 재인 과정을 거쳐 발효 숙성시킨 숙熟 소재라고 할 수 있다. 스토리가 플롯의 재료라면, 플롯은 그 스토리를 예술적으로 체험하는 배열의 질서이다.
E. M. 포스터는 『소설의 양상』에서, "스토리는 시간이 연속에 따라 배열된 사건들의 서술"로, 플롯은 "인과성에 중점을 둔 사건들의 서술"로 구별한다. 이러한 스토리의 개념과 논리는 수필에서도 그대로 적용되지만, 플롯에서는 근본적인 차이점을 갖는다. 소설의 풀롯은 허구적로 꾸며낸 소재를 인과성에 맞춰 문학적으로 조직한 것인데 비해, 수필의 플롯은 작가가 실제 경험에서 가져온 소재를 통찰하여 예술적으로 변형 배열란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수필 플롯의 이야기 변형방식은 이야기의 내용 자체를 바꾸는 게 아니라, 그 배열순서만을 바꾼다. 즉, 스토리의 내용을 바꾸는 게 아니라, 주어진 스토리의 배열순서만을 예술적으로 바꾼다는 점에서 허구성과 무관하다.
플롯의 전개방식에서도 수필과 소설은 명백한 차이를 보여준다. 소설에는 이미 4단 구성법이나 5단 구성법 같은 정형화된 플롯 형식이 있다면, 수필에는 정해진 틀이나 형식이 존재하지 않는다. 만일, 수필에 정해진 풀롯의 전개 형식이 있다면, 수필작가는 그 틀에 맞추기 위해 많은 이야기를 허구적으로 꾸미거나 보완하는 일이 발생할 것이다. 이럴 경우, 수필작품은 허구의 옷을 입음으로써 수필 고유의 정체성을 상실하게 된다. 그래서 수필작가는 플롯을 조직하는 과정에서 실제 세계에서 가져온 제한된 글감을 어떻게 예술적으로 배열하여 미적 울림을 증진할 것인가에 초점을 둔다.
따라서 수필 이야기를 예술적으로 조직하여 전달하는 최적의 풀롯 형식은 기본적으로 작품의 소재와 주제에 따라 자유롭게 창의적으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가장 설득력이 있는 수필이 플롯 형식은 작가가 자신의 경험 세계에서 가져온 중심 소재(제재)의 형식에서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장미를 닮은 여인의 이야기는 장미 형식에 담아 전달하고, 등나무처럼 살다간 사람의 이야기는 등나무 형식에 담아 전달할 때 최고의 설득력과 최적의 미적 울림을 창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바로 이 점에서 아리스토텔레스가 『물리학』에서 "기술이 자연을 모방한다"라고 언급한 것을 제자들이 살짝 비틀어 "예술은 자연의 모방이다"라고 바꿔서 사용한 명제는 진리에 가깝다. 이 명제 속에는 적어도 두 가지 가치 있는 비법이 숨어 있다. 즉, 문학은 대자연에서 소재를 빌려와 보조관념으로 사용하라는 것과 그 자연 소재로부터 전달 형식을 구하라는 뜻을 함유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수필작가는 이야기를 직설하지 말고 소재를 비유나 상징 형식으로 활용하라는 가르침으로도 이해된다.
물론 텍스트의 미적 울림은 풀롯만으로 창조되지는 않는다. 그래서 유능한 작가는 풀롯을 조직할 때, 주제의 울림과 미적 설득력을 증진하기 위해 다양한 기법과 문학적 장치들을 플롯에 숨겨놓고, 적절한 문장과 수사법을 활용하는 서술전략을 편다. 텍스트에 도입된 기법들은 플롯의 구조와 유기적으로 작용하면서 미적 울림을 극대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렇게 볼 때, 수필은 형식이 없는 문학이 아니다. 오히려 정형화된 형식을 갖지 않는 대신, 자유롭게 소재와 주제에 어울리는 최적의 플롯 형식을 창의적으로 찾아 쓰는 문학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수필작가에게는 스토리 차원의 단순한 소재 이야기를 미적 플롯으로 재배열하여 예술적 울림이 큰 이야기로 들려줘야 하는 사명과 책무가 주어져 있는 것이다. 사정이 이런 데도, 한국의 현대 수필 중에는 여전이 문학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스토리 수준으로 풀롯을 배열하는 작가들이 적지 않은 게 사실이다.
'수필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야기의 구조화와 문학성/안성수 (0) | 2023.07.09 |
---|---|
수필의 철학성과 문학성/안성수 (0) | 2023.07.09 |
수필은 생활의 도구다 / 홍억선 (0) | 2023.05.06 |
수필 아포리즘 / 윤재천 隨畵集 (0) | 2022.11.02 |
디지털 시대의 문장력 / 김시래 (0) | 2022.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