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세이향기

문향이 넘나드는 선방입니다

수필 이론

수필은 주역(周易)에 생활복을 입힌 것이다 / 박양근

에세이향기 2022. 3. 24. 09:14

수필은 주역(周易)에 생활복을 입힌 것이다 / 박양근

 

“가는 것은 모두 이 시냇물과 같구나. 밤낮을 가리지 않고 끊임없이 흘러간다.”

 

어느 날 공자님이 시냇물 위에 놓인 다리를 건너가면서 한탄한 말이다. 우리들도 일상에 묻혀 지내다가, 모든 것들은 쉬지 않고 변한다는 사실을 문득 깨달을 때 하늘에 뜬 구름을 쳐다본다.

 

기원전 6세기경 희랍의 서정시인도 인생무상을 이렇게 노래했다.

 

보게나, 세월이 내 관자놀이 위로

흰 서리를 뿌리더니, 어느새 내 머리를 흰 눈밭으로 만들었네.

이가 빠져 버린 잇몸은 자꾸 넓어지고

젊음도 기쁨도 오래전에 스쳐가 버렸네

 

시인이든 철학자의 명석한 논리와 다감한 감정이 지향하는 곳은 한 곳, 한 것이다. 그것은 인생과 자연의 변화이다. 천지개벽 (天地開闢), 상전벽해 (桑田碧海), 천선지전(天旋地轉), 생자필멸(生者必滅)…그래서 문학은 '무상함'을 절절히 노래하면서도 역설적으로 변하지 않는 근원을 찾으려 했다. 작가들은 인생무상을 탄식하면서도 오늘도 ”가나다라마바사…’ ‘abcedfg…'라는 자음과 모음으로 천상이 비밀을 노래한다. 이것이 다름아닌 주역 정신에 대한 숭모이다.

 

<주역(周易)>은 '주(周) 시대의 역(易)'이다. 중국인들은 오래전부터 황하의 자연 재해와 쉼 없는 전쟁에 허덕였다. 지금처럼 언제나 중국은 예측불허였다. "삶을 알지 못하는데 어찌 죽음을 아는가“라는 공자의 가르침을 따라 사후 세계는 보류하고 지극히 현실적인 해결책을 찾았다. 현실에서 일어나는 자연적ㆍ인위적 변화에 대응하려 하였다. 여기서 『주역』이 생겨났다.

 

주역은 모든 것을 변화라는 관점에서 해석한다. '역'은 주위 상황에 따라 색깔을 수시로 바꾸는 도마뱀의 일종을 본뜬 상형문자이다. 고대 희랍인들은 자연과 인생을 무상한 존재로 보면서 변하지 않는 영원한 존재를 '피시스(physis)라 불렀다. 불교에서 말하는 '제행(諸行)‘이 주관과 객관 전체를 포괄하는 개념이라면 ’무상'(無常)은 고유한 실체마저도 부정하는 철저한 변화를 말한다. 반면에 『주역』은 "끊임없이 낳고 또 낳는 것이 역”이라는 변화를 생명의 창조 과정으로 본다.

 

『주역』은 그 변화를 음양으로 설명한다. 「계사전」에서는 변화의 도(道)를 “한 번은 음의 방향으로, 한 번은 양의 방향으로 운동해 나가는 것"으로 풀이한다. 그러므로 상하, 좌우, 남녀라는 음양은 대립이 아니라 “서로 마주하며 기다린다”는 쌍의 의미이다. 양과 음의 기호는 ”—'와 '- -'이다. 양효(陽爻)와 음효(陰爻)를 풀이하면 효는 본받는다는 뜻이다. 양효는 남성의 성기를 음효는 여성의 유방을 나타낸다. 놀랍게도 한글에서도 자음은 남성을 모음은 여성을 상징하며 컴퓨터 언어에서 “0”은 여성을, 1은 남성을 나타난다.

 

기호는 언어가 발명되기 이전부터 존재했다. 사물을 감성적 직관적으로 인식하는 기호는 오늘날 기호학의 모태이기도 하다. 모든 사물을 기호로 풀이할 때 주역의 양효와 음효에 일치한다. 신호등의 3색 차이도 상호 작용을 통해 생겨난다. 왜냐하면 상대방의 부정은 자신에 대한 부정이므로 상대방을 부정할 수가 없다. 이것을 정리하면 '상반상성(相反相成)'의 논리로서 양극(+)과 음극(-)처럼 상호 감응하여 서로를 완성시켜 준다.

 

수필도 인생과 자연과 우주의 의미를 언어로 설명한다. 놀랍게도 여기에 주역정신이 깔려있다. 주역과 수필은 우주 탄생의 원리와 생명의 비밀을 캐고 그들 간의 상호성을 직관적으로 고찰한다. 그리고 비교적 짧은 문으로 형상화 의미화한다. 수필과 주역은 철학뿐만 아니라 과학 생물학 건축학 천문학 등을 포함한다. 주역과 수필이 다루는 자연계의 24절기도 농경의 지표일 뿐 아니라 인생의 흐름을 알려주는 간격으로 다룬다. 무엇보다 수필은 죽은 후의 내세를 다루지 않는다. 주역도 내세가 아니라 현세의 인간 운명을 다룬다. 수필과 주역은 공히 인문학의 속성에서 떠날 수 없다.

 

역경(易經)은 통상적으로 역경과 역전을 합친 것이다. 역경(易經)은 하늘, 땅, 물, 불, 바람, 못, 산, 천둥이라는 8가지 자연현상으로 인간의 길흉을 살핀다. 역전(易典)은 역경에 법칙을 세우고 괘에 대한 설명, 배열, 해석 등을 지칭한다. 수필에도 전과 경이 있다. 인간사가 역경이라면 그것을 엮은 틀과 구조가 역전이다. 주역이 길흉화복을 점치는 점서(占書)가 아니듯이 수필도 생로병사를 예측하는 글이 아니다. 오직 철학, 우주 만물을 성찰하여 지금 흐르는 삶의 모습을 담아낸다. 그러므로 수필의 생활성을 폄훼하지 말라. 주역조차 인간의 삶과 운명을 해석하지 않는가.

 

우주와 만물과 인간사에 대한 심오한 통찰을 이루어낸 수필이라면 능히 주역에 생활복을 입힌 것이라 할 만하다. 좌고우면(左顧右眄)하지말고 주역의 경지에 오르도록 노력할 것이다. 쉼 없이 흐르는 바람이나 구름을 문득 쳐다보고 문득(文得)한다면 주역의 괘(卦) 하나를 뽑은 것과 같은 즐거움을 얻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