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구경에도 윤리가 있다/김서령
20년 넘게 내가 사는 뜰에는 목련이 피었다. 해마다 꽃 피는 전과정을 지켜봤다. 책상 앞 바로 눈높이에 목련이 있어 눈을 들면 절로 목련과 마주 보지 않을 수 없었다. 겨울이 기세를 누그러뜨리고 차츰 볕이 달궈지는 어느 날, 가슴 안쪽에서 문득 수상한 동계가 감지되는 어느 날, 목련의 첫 꽃은 툭 소리를 내며 터진다. 나는 흥분해서 4월 3일 혹은 4월 6일에 동그라미를 그리며 이날을 기록했다.
20대엔 그저 좋기만 했다. 잎 없는 가지에서 커다란 목련을 불러내는 주체가 뭔지도 몰랐다. 무뚝뚝한 회색 가지 안에서 무심코 꽃이 툭 튀어 나오는 줄만 알았다. 내 기분이 좋으면 팝콘처럼 즐겁게 터지는군 싶었고, 내 심사가 사나우면 뭐가 좋은 세상이라고 철없이도 피어대는군 싶었다.
내 아니 스물여섯에서 서른여섯에서 마흔여섯이 됐다. 목련은 해마다 피었다. 한 해도 거르지 않았다. 열매가 아니라 꽃만 피우면 임무 끝이니 게으름을 피울 핑계가 없었을까. 그새 집에서 키우던 강아지 두 마리가 죽었고 죽은 강아지를 나무 아래 묻었다. 그래 그런지 꽃은 밥사발보다 커졌다. 요즘 밥 먹는 아잘찮은 밥공기가 아니라 내 어린 날 일꾼 밥을 퍼주던 두터운 사기사발보다 더 컸다는 말이다.
해마다 꽃을 내다보는 시간이 길어졌다. 개화의 순간을 싱겁거나 실없다고 여기는 마음은 상대적으로 줄어 갔다. 그러다 알게 됐다. 목련은 내가 기록하는 그날이 아니라 석 달 전부터 아니 여섯 달 전부터 이미 꽃을 배고 있었다는 걸. 꽃피는 날은 그 밴 꽃을 날마다 조금씩 키워 드디어 해산하는 날이란 걸. 4월이 아니라 3월 초부터 목련은 매일 기쁨과 고통을 반복하며 제가 만든 세상을 조금씩 들이미는 진통을 시작한다는 것을.
꽃피는 순간을 인간의 언어로 기록할 수 있을까. 그토록 무표정하고 고집스럽게 추위 속에서 꽃의 아기를 보호하던 겨울 눈, 추하다고 할 만하게 털이 숭숭하고 거칠고 딱딱하던 그 회색껍질이 맨 처음 땅에 툭 떨어지는 소리를 나는 봄마다 책상 앞에 앉아 듣는다. 때로 우박처럼 한꺼번에 두두둑 떨어지기도 한다. 봄밤의 장엄하고 흐드러진 음향이다. 흐드러진 생명의 음향이되 죽음의 음향이다.
생살을 찢으며 아이를 낳아본 어미인 내게, 명백히 이제 죽는구나 싶은 순간을 맛보았던 내게, 양다리 사이로 물컹하며 바닷물 같은 핏덩어리가 빠져나가던 절대 시간을 경험했던 내게 그 소리는 물질이 다른 물질에 부딪치는 객관음향일 수가 없다. 공포와 환희의 그보다 큰 무상감이 둥그렇게 구름 이루던 시간, 그 둥그런 감각이 목련의 겨울눈 깍지가 마당 위로 탁탁 떨어지는 봄날 새벽 내게 서늘하게 다시 찾아온다. 소리 안에 담긴 꽃피우는 놈의 불안과 공포와 환희를 낱낱이 헤아려낼 듯 나는 책상 앞에 곧추 앉아 있다. 우주가 둥그렇게 나와 목련 주변을 성근 원으로 감싼다.
저 목련의 거무튀튀한 겨울눈이 정반대의 빛깔을 제 껍질 안에 숨겨 두고 있다는 것. 그것은 해마다 확인해도 번번이 경악할 만한 반전이다. 설계자의 각본엔 봄이 세상의 명도를 갑자기 높이도록 디자인되어 있다. 꽃잎의 환한 우윳빛이 칙칙하고 지루한 회색을 흔들어 떨구면서 세상 밖으로 나오는 게 우연일 리 없다. 이토록 커다란 반전을 기획한 의도가 뭘까. 나를 비롯한 목련을 바라보는 모든 생명, 그들의 가슴을 더 세차게 흔들어 놓기 위해서일 거라고 나는 해석한다. 흔들어서 뭣하냐고? 각자 제 생명을 충분히 만끽하고 땅 위에 넘치도록 번성하라는 것일테지….
봄날의 햇볕과 바람엔, 움직일 줄 아는 길짐승과 날짐승과 곤충들까지 모조리 화들짝 놀라게 하고 싶은 신의 의도가 깃들어 있다. 각자 제 핏줄 속에 소스라쳐 흐르기 시작하는 피톨들의 잉잉대는 소리를 들어보라 세상 꽃들이 모조리 작당을 하는 거다.
아직 실내는 어둡다. 그러나 바깥엔 저만치 봄이 오고 있다. 곧 꽃들이 필 것이다. 아이에게 맨 처음 새 이빨이 돋듯, 잇몸 위에 발갛게 피가 맺히듯, 모든 꽃의 끄트머리엔 조금씩 핏물이 돈다. 꽃은 결국 제 어미나무의 실핏줄을 터뜨리며 핀다. 벌써 아래쪽엔 매화가 피었다는 소식이다.
둔감을 위장하고 있는 저 겨울눈의 깍지는 제 안에 환한 생명을 감춘 채 날마다 조금씩 자란다. 1월에도 이미 입술 그리는 모필보다야 훨씬 컸던 저것이 어느새 우리 아버지 어릴 적 <동몽선습>을 베껴 썼다는 붓만 하게 변했다. 3월이 이윽하면 그중 장한 놈은 추사가 귀양 가는 길에 해남 대흥사에 써서 걸었다는 무량수전을 쓴 모필만 하게 자랄 거다. 이제 나의 봄은 머리 위로 흔들리는 수백 송이 꽃송이 안에만 있지는 않다. 목련나무 아래 가득 널브러진 수천 조각 겨울눈의 누추한 깍지들 속에도 있다.
겨울눈이 움쑥움쑥 자라고 있다. 곧 3월이 오리라. 날마다 커가는 겨울눈을 들여다본 눈이라야 목련의 개화를 즐길 자격이 있다. 흰 타월을 던지듯 뚝뚝 떨어지는 그놈의 처절한 낙화, 그 순간까지 실컷 음미하고 싶다면 지금부터 저 겨울눈과 친해져야 한다. 적어도 그게 꽃구경의 윤리다.
'좋은 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산은 없다 / 김서령 (0) | 2021.05.20 |
---|---|
구월이 왔다 / 김서령 (0) | 2021.05.20 |
부엌/김서령 (0) | 2021.05.20 |
좌판에 앉아 / 김서령 (0) | 2021.05.20 |
반딧불이처럼/최윤정 (0) | 2021.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