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꽃 / 김보성
폐사지에서는 나의 말[言]을 방목해도 괜찮다. 모든 것이 벌거벗은 채로 퇴색되어 고요로 쌓이기 때문이다. 기억을 더듬던 연꽃은 까만 연자를 품어 동안거에 들고, 고인을 헤아리다 지친 귀부의 몸통은 덩그러니 황토 자리를 깔고 앉았다. 제각각 흩어진 돌들이 사고무탁으로 노거수에게 제 몸을 맡기고 무연하다. 햇살은 담백하게 내려앉고 바람은 가식 없이 방랑한다. 계절이 비껴간 터는 옛날의 어스름을 닮아 홀로 담담하다.
젖은 숨이 바삭해진다. 사초는 은빛으로 일렁이고 그 뒤를 바람의 소리가 뒤따른다. 아무도 말이 없다. 귀를 열어 소리를 담을 뿐이다. 침묵 속에 나 홀로 소란하다. 하지만 말의 무게를 누르고 고요의 결을 느끼면 생각은 비워지고 몸은 가벼워진다. 점점 내 안의 풍경 속으로 몰입된다.
폐가람은 세월의 흔적들로 가득했다. 그중 사자 석등이 마음을 붙잡았다. 두 마리의 사자가 배를 맞대고 화사석을 받쳐 들었다. 허벅지의 탄탄한 근육과 엉덩이의 유려한 곡선이 불을 지키는 수호자의 의지를 돋보이게 한다. 혹자는 사자들이 벌을 서는 것처럼 보인다고 말한다. 하지만 하늘을 떠받고 있는 아틀라스의 힘든 목덜미나 헤라클레스의 고단한 오른발이 느껴지지 않는다. 객의 눈에는 재기발랄한 표정과 숭고한 몸 힘이 눈에 들어온다. 죄(罪)의 의미가 아니라 헌(獻)의 뜻이 담겨 있다.
석등의 지붕 모서리마다 돌꽃이 솟았다. 귀꽃이다. 귀마루에 새긴 꽃 장식이라 귀꽃이라 불린다. 하지만 나는 꽃의 귀라 칭하고 싶다. 사방으로 열려 있는 귀, 누구든 무슨 사연이든 다 들어주는 귀 말이다. 하나의 촛불을 밝히기 위해 두 마리의 사자는 상대석을 받든다. 그들의 지순함이 돌 표면에 순박하게 묻어난다. 덕분에 불은 꺼지지 않고 어둠을 밝혀 주변을 따뜻하게 감싸 안았다. 우리는 촉화의 영광과 사자의 헌신을 기억한다. 하지만 귀꽃은 기억하지 못할 것이다.
꽃을 새긴 이유가 궁금하다. 육중한 돌 분위기를 가뿐하게 하기 위함일까. 귀퉁이조차 아름다움을 놓지 않으려는 석공의 장인 정신인가. 그도 아니면 하늘에 닿으려는 바람을 꽃으로 표현한 것인지. 석등은 소망의 대상이다. 귀를 활짝 펼쳐 모든 이의 애환을 들어주고 그들 가슴에 꽃으로 피어나라는 의미라 여겨본다. 길 잃은 삶에게 꽃귀가 길잡이 되어 줄 것이다. 처음부터 귀꽃이 되지는 않았을 터. 이명을 앓듯 귀를 열어 쓴 말은 씻어냈으리. 마음 소리는 무심히 흘려보내고 상처에 두 손을 오므렸을 것이다. 무채꽃으로 피기까지 얼마나 많은 세월이 피고 지고 흘렀을까.
귀꽃의 종류는 여러 가지다. 고사리 모양은 꿈틀거리는 미로 형태다. 애달픈 사연으로 굴곡진 달팽이관을 닮았다. 꼬인 소리 덩이를 실타래 풀어놓은 듯 늡늡하게 피어 있다. 이파리 형은 형형의 삶이 갈라졌다 모여 한 길로 향하는 소실점이다. 앞선 이가 걸어왔던 발자국이고 앞으로 걸어갈 이의 이정표처럼 너볏하다. 이렇듯 무늬도 다르다. 우리도 그렇지 않을까. 듣는 마음자리에 따라 꼬불꼬불한 고사리로, 뾰족한 이파리로, 만개한 연꽃으로 발현된다. 나는 어떤 화관으로 피어 누구의 꽃귀가 되고 있을까. 귀는 막은 채 눈만 끔벅거리는 헛꽃은 아닌지, 뭉그러진 무게로 가슴을 짓누르는 꽃멍은 아닌지 살피게 된다.
들어주는 자가 되고자 했다. 앞장서는 말보다는 뒤따르는 행동에 방점을 찍고 싶었다. 하지만 소망은 무시로 깨져버린다. 상처와 맞닿은 감정을 만나면 그날의 듣기는 실패다. 서로를 알아챈 슬픔들이 생채기를 내보이기 바쁘다. 자신의 눈물이 더 깊고 짜다며 소리를 높인다. 펄떡이는 말[言]들이 고삐가 풀린 채 줄행랑을 친다. 고초의 사연들이 각자 앞만 보고 질주를 한다. 그러다 뒤돌아보면 수많은 음이 낯빛에 부딪혀 하루살이처럼 소멸하고 혼자만의 방백만 빈말되어 흩어진다. 결국, 듣는 자가 아니라 앞서 말하는 자가 되고 만다. 매번 되풀이되는 후회스러운 말들을 사발에 담아 주둥개산의 말무덤[言塚]에 묻어버리고 싶은 심정이다.
옛 선인들은 마음을 얻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경청’을 택했다. ‘듣다’라는 뜻의 청(聽)을 풀이해보면 귀耳, 임금님王, 열十, 눈目, 한一, 마음心으로 이루어져 있다. 임금님 귀로 열 개의 눈, 즉 다섯 사람 모두가 하나의 마음이 되도록 만드는 것이 곧 듣기라는 것이다. 귀를 항상 열어두고 상대의 말에 주의를 기울여 지혜를 얻고 공감을 키우라는 뜻일 게다. 듣기보다 말하기에 급급한 세상이다. 말소리는 상대에게 가닿지 못하고 눈에도 담기지 못한 채 대부분 허무하게 소비된다. 귀한 인연이 스쳐 가도 알아채지 못한다. 제대로 들어야 잘 이해할 수 있고 동감할 수 있으며 나와 상대를 변화시키는 힘을 발휘한다. 입 밖의 말뜻부터 입안의 말속까지 품을 수 있는 귀꽃은 세이공청의 끝에서 한 겹씩 트인다.
육신은 목숨을 다해도 귀는 한동안 열려 있다고 한다. 그러니 망자에게 마지막 말을 들려주라고 했다. 눈물로 얼룩진 이부자리에 고요가 미동 없이 누워 있다. 어린 영혼에게 꼭 해야 할 말이 있지만 입 밖으로 나오지 않는다. 짧디 짧은 생 앞에 여러 말들은 통곡으로 바뀌었다. 같은 혈육으로 태어나 애틋한 정을 나누는 시간보다 병석에 누워 있던 시간이 많았던 아홉 살 인생이다. 나는 말해야 할 때 침묵하고 들어야 할 때는 귀를 막았다. 뒤늦은 후회에 이승의 마지막 말을 놓치고 말았다. 떠나가는 여린 귀에 누이의 울음만 그득히 담겼을 것이다. 난 자리는 덤벙이 되고 선선한 소슬바람이 불어오면 나의 계절은 여전히 상중(喪中)이다.
신 앞에 읍소하면 목덜미가 서늘해진다. 신은 모든 걸 다 알고 있으리라는 신념 때문이다. 매 순간의 다짐은 하찮은 뉘우침의 반복으로 쌓인다. 무명한 중생이니 겉말을 비운다. 세 치 혀는 묵언에 접어두고 두 귀를 꽃처럼 펼친다. 세상의 허언을 씻고 침묵의 언어를 듣는다. 나는 누구인가. 궁구하던 자신의 말부터 들어준다. 나의 꿈, 나의 시선, 나의 기쁨, 나의 이기심을 속속들이 꿰뚫고 있으니 체면도 미화도 필요치 않다. 그저 진솔하게 들어준다. 그렇게 스스로를 이해하고 용서하면 타인의 불가한 마음도 나눌 수 있게 된다. 귀 품은 넓어지고 깊어져 진실과 아픔도 정성껏 담아낼 수 있으리라.
귀 기울면 보이기 시작한다. 보이면 알게 되고 알게 되면 사랑하게 된단다. 마음에 담고 이해하고 변화되는 거, 이 모든 행위는 귀를 여는 것에서 시작된다. 풀벌레의 미세한 떨림부터 소망 담은 자의 발자국까지 난청을 앓으면서도 성심껏 품어냈을 귀꽃. 잠시 머물다 피고 지는 물상과 매번 스치고 지나간 인연들, 그들 생을 묵묵히 지켜보고 꽃이 된 석화.
쉿, 누군가 있다. 보이지 않지만 존재한다. 석탑의 기단에 바람의 숨 속에서 지켜보고 있다. 화안으로 들어주는 이. 책 속의 인물일 수도 먼 옛날의 선지자일 수도 자신만의 신일 수도 있지만 분명 이곳에도 내 안에도 있다는 걸 알겠다. 그래서 빛 없는 불은 꺼지지 않는다. 불꽃을 밝혀 환하게 비추고 품어 안는다. 하늘의 말과 땅의 뜻이 만나 화창(火窓)속에서 밝게 빛난다.
꽃들의 귀가 지나가는 계절의 조언을 듣는다. 오래된 별들의 경험을 새기고 소망 비는 이의 애절함도 기억한다. 이야기꽃들이 피어난다. 향기 없는 꽃, 하늘 향해 피어나는 돌꽃, 누구에게나 귀를 열어주는 귀꽃이 천화로 만개한다. 그리고 바람의 입을 빌려 세상 말을 전한다. 괜찮다고, 다 그렇게 흘러가는 것이라고.
'좋은 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망의 단서 / 이성환 (0) | 2025.01.03 |
---|---|
별이 되어 / 김필령 (0) | 2025.01.02 |
숫돌을 읽다 / 허정진 (2) | 2024.12.28 |
풍화 (風化) / 박종희 (0) | 2024.12.26 |
종소리 - 강숙련 (3) | 2024.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