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들의 납골당 / 권현옥
책들은 햇살을 어떻게 쐬는가.
사람의 눈빛과 콧김으로 쐰다.
고요히 숨어있다가도 입김을 가진 자들이 다가와 반짝이는 눈빛과 차분하거나 격정적인 콧숨을 쉬면 책장을 넘기는 손가락의 체온을 따라 길을 열리고, 활자들은 영혼을 입어 그 사람의 머릿속으로 들어가 산다. 그렇게 오래토록 햇살을 쐰다.
무덤은 산과 들에서 가장 좋은 햇살을 쐬려고 명당자리를 차지했지만 그것도 몇 십 년. 납골당의 항아리는 햇살도 포기하고 눈비를 피하고 바람을 피해서 안전한 곳에 숨어들었지만 특별한 눈빛과 마주치기만을 기다리고는 몇 십 년일까. 숨결이 뜸한 세상을 억지로 기다리는 모습이 차다. 그렇게 사람이 남긴 것들은 존재하다 사라진다.
도서관은 화려한 전시장이고 필자의 납골당이고 책의 납골당이다.
세상은 산 사람의 공간을 비껴 죽은 자의 공간도 나누어 줬지만 도서관에는 수천 년 전부터 지금까지의 살아남은 책들과 금방 나온 책들에게도 자리를 줬다.
8~90세를 살아도 다 살아내지 못할 무수한 삶이 그 속에도 있고 초속으로 넘나드는 유령의 접전 지역처럼 과거와 현재, 미래가 살아있다. 질주와 방황이 있고 수도와 명상이 있고 지식과 지혜가 있어도 그곳에서 나와 보면 여전히 피부에 와 닿고 알고 있는 지혜와 전혀 다른 또 한 세상이 있음은 이 두 세계를 증명한다.
점토와 파피루스와 목판과 천들에 입혀온 책들의 영혼이 다 사라지고, 필사되고 활자로 인쇄된 수많은 책들이 수레에 실려 지하창고로 가고 헌책방에도 가고 쓰레기장에 버려지고 소각되고, 무엇이 있었는지조차 어디에 있는지조차 모르게 되지만 그래도 살아서 아직 남아있는 곳, 없어질 것에 대비해 일단 모아놓은 전시장이자 결국 남게 된 대형 납골당, 이곳이 도서관이다. 수없이 살아나는 과거와 팔딱거리는 현재와 미래가 있는 책들의 납골당. 작가와 철학자와 수학자와 연구자들의 뼈와 영혼이 숨 쉬는 납골당이다.
내 삶의 격정적 문체를 지녔던 화려한 페이지와 진부하기 짝이 없이 설명만 늘어놓았던 만연체의 페이지와 행동은 없고 생각만 있는 무기력함으로 지루해졌을 때 나보다 나은 사람들의 시간과 머릿속을 엿보기 위해 도서관을 찾는다. “아, 이렇게 많은 유령이 사는 납골당에 와본 적이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무섭지도 서늘하지도 않은 경건한 납골당.
수많은 책들이 등을 보이고 꽂혀있다. 시간과 노력과 성찰 끝에 이끌어낸 압축된 책은 납골당의 뼛가루 같은 육신의 실체들이다. 그것을 바라볼 때마다 묵념이나 존경의 뜻을 보내지 않을 수가 없다. 조용한 제목자체로만 있는 인기 없는 책들과의 만남마저도 햇살이다.
나는 도서관의 문을 밀고 들어서면 거대한 침묵에 압도당하고 이내 그 침묵을 껴안게 되고 내 영혼은 내 육신의 두 배쯤 가라앉는 느낌을 받는다. 숙연해져서 내 발자국을 뗄 때마다 그 무게를 느끼고 조심스러워지는 것에 환희를 느낀다. 백화점이나 커피숍의 문을 열 때와 다른 숨을 쉰다. 수십 년이나 수년간 집필한 영혼의 세포들 앞에서 값도 없이 얻을 수 있는 선택권에 흐뭇하다. 무덤을 만나본들 그들의 삶에 대해 뭘 알 수 있을까. 오직 책으로 만날 수 있는 이 장소가 위대하다.
책상에 앉아있는 사람은 고개를 숙여 책이 말하는 세상을 알아내고 1미터가 채 안 되는 책꽂이가 만든 골목에서 서성이는 사람은 침묵과 외침과 기다림 사이에 있다. 깊은 물속을 걷듯 묵직한 것이 허벅지를 가르는 것 같다. 느껴지는 압력이 좋다. 등을 보이고 있는 많은 책들의 이름을 본다. 드디어 하나를 꺼내어 책장을 넘기면 책은 숨을 쉬고 내 안에 들어와 햇살이 되기도 하고 햇살을 보기도 한다.
기원전 7세기 점토로 만든 책의 니베네 도서관이나 터키의 화려한 도서관 에베수스, 학구열에 불탄 무굴 제국의 악바르 황제나 멕시코의 후아나 수녀 같은 맹렬한 독서가, 재상 압둘 카셈이 17만 7천권을 싣고 다녔다는 사막의 도서관, 보르헤스가 만든 상상의 ‘바벨의 도서관’까지, 추구한 것은 결국 그 옛날 이집트 도서관 현판에 쓰인 “영혼의 시약소, 약방”이 아닐 수 없다. 얼마나 반가운 동감인지.
도서관에는 햇살과 바람과 눈비를 피해 살아있는 체온과 콧김과 눈빛으로 건드려 주는, 안으로 밖으로 종횡무진 다니는 책들이 있다. 희망을 품은 책들이 있다. 납골당처럼 과거로 꽂혀있지만 현재에 살아 숨 쉬고 햇살을 쐬고 미래를 말하고 있다.
덴마크 의사 바르톨리니는 ‘책이 없으면 신도 침묵하고 정의도 잠자고 과학은 정체되고 철학은 불구가 되고 문학은 벙어리가 된다’고 했던가.
도서관에 가면 문을 밀고 들어설 때의 뿌듯함만으로도 행복하다
'좋은 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 수목원을 읽다/윤승원 (0) | 2022.10.21 |
---|---|
어미쭈꾸미 / 조현숙 (0) | 2022.10.19 |
중고책 / 박영란 (0) | 2022.10.11 |
밀개/윤승원 (0) | 2022.10.09 |
쟁기 / 임병식 (0) | 2022.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