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세이향기

문향이 넘나드는 선방입니다

우리말

** 띄어쓰기는 어떻게? **

에세이향기 2023. 6. 17. 05:37
** 띄어쓰기는 어떻게? **

1. 조사나 접사를 제외한 단어와 단어 사이는 반드시 띄어 씁니다.
♠ 기본적인 띄어쓰기의 원칙 : 단어와 단어 사이는 무조건 띄어 써요.
♠ \'수, 것, 바, 데\' 등 의존명사도 띄어 씁니다.
▶ 먹을것이많다 → 먹을 것이 많다
▶ 원하는바대로이루어지게하소서 → 원하는 바대로 이루어지게 하소서
▶ 그가간데는아찔한곳이었다 → 그가 간 데는 아찔한 곳이었다
▶ 궁하면개구리도먹을수있다 → 궁하면 개구리도 먹을 수 있다

2. 복합어, 조사, 접두사, 접미사는 반드시 붙여써요.

♠ 복합어는 이미 한 단어로 굳어진 것이니까요.
▶ 피자특대로하나주문하자 → 피자 특대로 하나 주문하자
▶ 원성스님은동자들만이뻐한다. → 원성스님은 동자들만 이뻐한다.
▶ 산에올라가다 → 산에 올라가다

▶ 나뭇 가지→나뭇가지, 꽃 가루→꽃가루, 긁어 모으다→긁어모으다, 거침 없다→거침없다, 걸어 가다→걸어가다, 내려다 보다→내려다보다, 은 수저→은수저, 청동 화로→청동화로, 볏 섬→볏섬, 꾸밈 없다→꾸밈없다

 

♠ 아래와 같이 접두어, 접미어가 붙는 경우도 붙여씁니다.
  짓 밟다 → 짓밟다,    풋 사과 → 풋사과,    검 푸르다 → 검푸르다,    파 헤치다 → 파헤치다, 등 

▶ 선생 님 → 선생님,    빛 깔 → 빛깔,    장난 꾸러기 → 장난꾸러기,   우리 끼리 → 우리끼리, 등

 

♠ 조사는 명사 뒤에서 붙어 있으면서 문장 안에서 낱말의 문법적 역할을 정해주는 말 : 은, 는, 이, 가, 을, 를, 에게, 로부터, 께서, 대로, ~에서, ~로, ~라고, ~하고 ~처럼, ~와, ~과, 등

▶ 학생에게부과되는의무 → 학생에게 부과되는 의무

▶ 우리학교의이름은망포초등학교이다. → 우리 학교 이름 망포초등학교이다.

▶ 뉴스에서내일날씨가흐릴것이라고알려주었다. → 뉴스에서 내일 날씨 흐릴 것이라고 알려주었다. 


3. 헷갈리기 쉬운 것(의존명사냐? 조사냐?)
♠ \'대로\', \'만큼\'은 의존명사일 때도 있고, 조사일 때도 있어요.

▶ 너는 너대로 나는 나대로 길이 있다.(조사)
▶ 손오공 그 녀석 까부는 대로 그냥 두어라.(의존명사)
▶ 너만큼 모지리가 또 있겠니?(조사)
▶ 사랑한 만큼 아픔도 크다(의존명사)

♠ 똑같은 말도 의존명사일 때와 어미일 때가 있어요.
▶ 잡초가 무성하게 자라난 데는 풀벌레도 많아(의존명사)
▶ 아니, 공부한다는데 웬 심부름?(어미)

4. 본용언(정식 풀이글)과 보조용언(보조 풀이글) 사이는 띄어쓰는 것이 원칙이지만

♠ \'∼아(어)\' 뒤에서는 대체로 붙여써도 상관없다.

▶ 먹어 보아도 역시 엿이다 → 먹어보아도 역시 엿이다
▶ 광개토대왕의 큰 뜻을 이어 가자 → 광개토대왕의 큰 뜻을 이어가자
▶ 구멍가게 해 보다가 벤처기업 차렸단다 → 구멍가게 해보다가 벤처기업 차렸단다.

이 밖에도 늙어 간다→늙어간다, 견뎌 내다→견뎌내다, 적어 놓다→적어놓다, 우겨 댄다→우겨댄다, 알아 둔다 →알아둔다, 써 드린다→써드린다, 웃어 버렸다→웃어버렸다, 읽어 본다→읽어본다, 울어 쌓다→울어쌓다, 살아 온→살아온

5. 고사성어나 한자어 합성어, 여러 단위로 된 고유명사는 띄어씀이 원칙이지만 붙여 쓸 수도 있어요. 전문 용어도 또한 같습니다.
▶ 전라 남도 보수 총 연맹→전라남도 보수총연맹
▶ 서울 대학교 인문 사회 과학 대학 → 서울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 천고 마비 ― 천고마비
▶ 방송 사고 ― 방송사고

6. 수를 적을 때에는 만(萬) 단위로 띄어 씁니다. 그리고 돈의 액수를 나타내는‘원’은 띄어 써요. 다만, 아라비아 숫자로 쓸 경우에는 ‘원’은 붙여씁니다(단위성 의존 명사와 숫자가 함께 쓰일 때에도 마찬가지입니다). 또 순서를 나타내는 말도 붙여쓰구요.
▶ (1,233,356,582 (십이억 삼천삼백삼십오만 육천오백팔십이)
▶ 오십만 원 / 500,000원, 백 개 / 100개
▶ 세시 이십오분 이십칠초, 제오장, 육학년, 삼십이층

7. 수를 나타내거나 단위를 나타내는 단어는 띄어씁니다. (순서를 나타내는 경우나 숫자와 어울리어 쓰이는 경우에는 붙여 쓸 수 있죠).
▶ 물 한 잔, 책 한 권, 노트 다섯 권, 볼펜 두 자루

8. 관용적으로 붙여쓰는 의존 명사 : 의존 명사는 원칙적으로 띄어 쓰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는 관용적으로 굳어져서 붙여쓰는 것들입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품사가 바뀐 것도 있어요.
▶ 이번, 저번, 지난번, 먼젓번(대명사)
▶ 이이, 그이, 저이 / 늙은이, 젊은이, 어린이, 지은이, 못난이(대명사)
이 밖에도 동쪽, 서쪽, 남쪽 / 앞쪽, 뒤쪽, 양쪽, 한쪽, 반대쪽, 오른쪽, 왼쪽, 위쪽, 아래쪽, 안쪽, 바깥쪽(명사) / 이쪽, 그쪽, 저쪽(대명사)
▶ 이것, 그것, 저것, 아무것(대명사)
▶ 반나절, 한나절(명사)
▶ 이편, 그편, 저편 / 오른편, 왼편, 건너편, 맞은편(명사)
▶ 이즈음, 그즈음, 요즈음(대명사)

9. 의성어나 의태어 등의 첩어는 붙여씁니다.
▶ 이리저리, 본둥만둥, 살랑살랑, 차례차례, 살래살래, 끄덕끄덕, 뻐꾹뻐꾹 , 너울너울, 곤드레만드레, 그럭저럭, 곱디곱다, 곱게곱게, 이모저모, 하늘하늘, 들락날락, 얼룩덜룩

10. 성과 이름, 성과 호 등은 붙여쓰고 이에 덧붙는 호칭어, 관직명 등은 띄어씁니다. 이때 성과 이름, 성과 호를 구분할 필요가 있으면 띄어 쓸 수도 있구요, 성이 두 자인 사람은 붙일 수도 있고 띄어쓸 수도 있어요.
▶ 퇴계 이황, 몽양 여운형 선생, 서화담, 안철수 씨, 이 박사, 충무공 이순신 장군)
▶ 독고탁(독고 탁), 제갈용녀(제갈 용녀).

11. 두 말을 이어 주거나 열거할 적에 쓰이는 말들은 띄어 씁니다.
▶ 대통령 및 국무위원, 국장 혹은 과장, 밤, 대추 등, 하나 내지 둘, 남자 대 여자, 배 등속, 서울, 부산, 인천, 광주 등지

12. 관형사는 띄어 써요.
▶ 한 사람, 순 우리말, 각 가정, 단 하루, 헌 책, 맨 먼저, 여러 가지, 새 사람. 우리 나라

 

위 2항 예시 보충 : [헷갈리는 합성어(하나의 단어로 굳은 것) 모음]

: 주로 동사끼리의 합성어에서 띄어쓰기가 많이 헷갈려요.

~가다 : 쫓아가다, 넘어가다, 앞서가다, 거쳐가다, 살아가다, 달려가다, 들어가다, 놀러가다, 올라가다, 찾아가다,

~내다 : 알아내다, 들추어내다, 밀어내다, 끄집어내다, 드러내다, 풀어내다, 쫓아내다, 찾아내다, 담아내다, 얻어내다, 끄집어내다

~나오다 : 흘러나오다, 들고나오다, 튀어나오다, 빠져나오다,

~오다 : 쳐들어오다, 가져오다, 불어오다, 걸어오다, 쫓아오다, 들려오다, 찾아오다, 살아오다, 다녀오다, 돌아오다, 뒤따라오다, 보내오다, 지나오다,

~내리다 ~오르다 : 흘러내리다, 쓸어내리다, 피어오르다, 부풀어오르다,

~들다 : 빠져들다, 잦아들다, 녹아들다, 기어들다, 말려들다, 접어들다

~들이다 : 끌어들이다, 불러들이다, 받아들이다,

~나다 : 깨어나다, 벗어나다, 생겨나다,

~주다 : 들려주다, 놓아주다, 데려다주다, 가져다주다, 도와주다

~보다 : 물어보다, 찾아보다, 훑어보다, 내려다보다, 올려다보다, 지켜보다, 쳐다보다, 둘러보다, 알아보다, 찾아보다, 내다보다

~두다 : 던져두다, 그만두다, 덮어두다, 놓아두다,  내버려두다

~올리다 : 쌓아올리다, 들어올리다, 낚아올리다,

~서다 : 들어서다, 넘어서다

~놓다, ~넣다 : 집어넣다, 내려놓다, 올려놓다

~나가다, ~나서다 :  빠져나가다, 따라나서다, 달려나가다,

~다니다 : 떠돌아다니다,  나돌아다니다, 

~거리다 : 울렁거리다, 피식거리다,

~버리다 : 잃어버리다, 터져버리다

되돌아~ :  되돌아오다, 되돌아가다, 되돌아보다

 

그 외에도 : 눌러쓰다, 걷어차다, 들어맞다, 잡아채다, 내리누르다,  후려갈기다,  잡아당기다 뒤집어쓰다, 싸지르다, 나가떨어지다, 내지르다, 부스럭대다집어삼키다, 

 

♠ 명사+동사, 명사+명사 의 합성어

귀기울이다 / 쥐죽은듯 / 네발짐승 / 비포장도로 / 문제없다(문제 없이) / 문틈 / 손안 / 이외 / 오래전 / 뒤로하다 / 긴말 /

은연중 / 볼일 / 어젯밤 /  어제저녁 / 난생처음 / 그럴듯하다 / 비밀리 / 죄짓다 / 오래되다 / 불안해하다 / 결론짓다 / 결정짓다

소리치다 / 뿌리박히다 / 가득차다  / 별다르다  / 세상모르다 / 질퍽거리다 / 오르락내리락하다  / 얼싸안다, 

 

[구분(반대 의미인데 한 가지 단어만 합성어인 경우)]

끌려 나오다 vs 끌려나가다

빼 들다 vs 빼내다

끄집어 올리다 vs 끄집어내리다

 

[의미에 따라 합성어 사용을 하거나 띄어 써야 하는 경우]

(지위 낡은 틀을) 벗어던지다, (옷을) 벗어 던지다

(높은 지위로) 끌어올리다, (컵을) 끌어 올리다

(무언가를 마음속에 묻을 때) 묻어두다, (물건을) 묻어 두다

 

[본용언+보조용언(띄어쓰기가 원칙, 붙여쓰기는 허용)]

*가다- 이어 가다, 물들어 가다, 죽어 가다, 무너져 가다, 풀어 가다, 쌓아 가다, 왔다 가다, 키워 가다, 만들어 가다, 맞춰 가다, 읽어 가다, 끌고 가다

*나가다- 뻗어 나가다, 이어 나가다, 퍼져 나가다, 지켜 나가다

*나오다- 따라 나오다, 뻗어 나오다

*내다- 털어 내다, 쏟아 내다, 씻어 내다, 버텨 내다, 견뎌 내다, 토해 내다, 살아 내다

*내리다- 무너져 내리다 

*놓다-바꿔 놓다, 꽂아 놓다, 그어 놓다, 섞어 놓다

*다니다- 몰고 다니다

*대다- 쪼아 대다

*두다- 붙여 두다, 깔아 두다, 넣어 두다, 남겨 두다

*버리다- 써 버리다, 삼켜 버리다, 날려 버리다

*보다- 눌러 보다, 막아 보다, 찔러 보다, 만나 보다, 말해 보다, 들어 보다

*있다- 앉아 있다, 서 있다, 깨어 있다, 걸려 있다, 묻어 있다, 누워 있다

*오다- 봐 오다 

*올리다- 집어 올리다, 잡아 올리다

*서다- 멈춰 서다

*주다- 지켜 주다, 안아 주다, 말해 주다, 말아 주다, 지켜 주다, 보여 주다, 알려 주다, 실어 주다

*퍼지다- 울려 퍼지다

 

♠붙여쓰기 용인이 안 되는 경우 [띄어쓰기밖에 안 되는 것]

*죽다- 굶어 죽다

*달라- 빌려 달라

*사다- 사 오다, 사 먹다

*넣다- 채워 넣다

*나다- 티 나다

*들다- 꺼내 들다

*따라 하다

*마주 보다

*한 손, 두 발, 두 손

*난리 치다

[출처] 합성어/본용언/보조용언 예시(붙여쓰기, 띄어쓰기)|작성자 direct_writer

 

** 맞춤법 틀리기 쉬운 우리말 102가지  

1. 아기가 책을 꺼꾸로 보고 있다.(꺼꾸로 → 거꾸로)
2. 소가 언덕빼기에서 놀고 있구나.(언덕빼기 → 언덕배기)
3. 딱다구리가 쉴새없이 나무를 쪼고 있다.(딱다구리 → 딱따구리)
4. 땀에서 짭잘한 맛이 났다.(짭잘한 → 짭짤한)
5. 오늘은 페품을 내는 날이다.(페품 → 폐품)

6. 김건모의 핑게라는 노래가 인기있다.(핑게 → 핑계)
7. 내 작품이 교실 계시판에 붙어있다.(계시판 → 게시판)
8. 5학년 1반으로 가면 국기계양대가 있다.(계양대 → 게양대)
9. 백화점 휴계실에서 만나자.(휴계실 → 휴게실)
10. 성적표를 보니 씁슬한 기분이 들었다.(씁슬한 → 씁쓸한)

11. 나와 내 동생은 연연생으로 태어났다.(연연생 → 연년생)
12. 늠늠한 항도의 남학생들을 보라!(늠늠한 → 늠름한)
13. 귀에 걸면 귀거리, 코에 걸면 코거리.(귀거리, 코거리 → 귀걸이, 코걸이)
14. 입지 않는 옷은 옷거리에 걸어야 한다.(옷거리 → 옷걸이)
15. 여름에는 어름이 많이 팔린다.(어름 → 얼음)

16. 거리가 얼마나 될지 가름해 보았다.(가름해 → 가늠해)
17. 누구 말이 옳은지 가늠해보자.(가늠해보자 → 가름해보자)
18. 천사의 손가락이 동쪽을 가르쳤다.(가르쳤다 → 가리켰다)
19. 용기를 가르켜주신 고마운 선생님이 계셨다.(가르켜주신 → 가르쳐주신)
20. 종이가 갈갈이 찢어졌다.(갈갈이 → 갈가리)

21. 내 거름이 몹시 늦어 지각했다.(거름 → 걸음)
22. 구름이 거치자 맑은 하늘이 보였다.(거치자 → 걷히자)
23. 밀양을 걷힌 기차가 부산에 도착했다.(걷힌 → 거친)
24. 형제끼리 총을 겨루었던 6.25의 비극(겨루었던 → 겨누었던)
25. 1반과 2반이 축구로 승부를 겨누었다.(겨누었다 → 겨루었다)

26. 무 깍듯이 나무를 깍았다.(깍듯이, 깍았다 → 깎듯이, 깎았다)
27. 참 깎듯한 존대말을 듣는구나.(깎듯한 → 깍듯한, 존대말 → 존댓말)
28. 조개 껍질을 모아 보자.(껍질을 → 껍데기를)
29. 포도 껍데기는 먹지 마라.(껍데기는 → 껍질은)
30. 낟 : 곡식 낟알 / 낫 : 풀 베는 낫 / 낮 : 밝은 대낮 / 낱 : 낱개 / 모두 `낟`으로 소리 남.

31. 너비 : 폭, 도로의 너비 / 넓이 : 면적, 운동장의 넓이
32. 갑자기 새들이 날라갔다.(날라 → 날아)
33. 이삿짐을 모두 날아라 .(날아라 → 날라라)
34. 개가 __를 나았다.(나았다 → 낳았다)
35. 병이 다 낳은 할머니를 뵈었다.(낳은 → 나은)

36. 우리는 힘들게 산을 너머 갔다.(너머 → 넘어)
37. 우리의 목적지는 산 넘어에 있다.(넘어 → 너머)
38. 고무줄을 아래로 늘려보았다.(늘려 → 늘여)
39. 돈을 한 푼 두 푼 늘여나갔다.(늘여 → 늘려)
40. 어머니께서 옷을 달이고 계시다.(달이고 → 다리고)

41. 어머니께서 약을 다리고 계시다.(다리고 → 달이고)
42. 줄을 힘껏 댕기다.(댕기다 → 당기다)
43. 아궁이에 불을 당겼다.(당겼다 → 댕겼다)
44. 나는 넓은 대로 나가 살고 싶다.(넓은 대로 → 넓은 데로)
45. 나는 들은 데로 말하고 있다.(들은 데로 → 들은 대로)

46. 그 책은 내가 읽든 책이고, 그 밥도 내가 먹든 것이다.(읽든, 먹든 → -던,)
47. 먹던 말던 네 마음대로 해라.(먹던, 말던 → -든)
48. 얼마나 놀랐든지 땀이 흠뻑 났다.(놀랐든지 → 놀랐던지)
49 가던지 말던지 네 마음대로 해라.(가던지 말던지 → -든지)
50. 나의 1학기를 뒤돌아보니 반성할 게 많다.(뒤돌아보니 → 되--, 참고로 둘 다 맞음)

51. 반장이 줄이 바른가 되돌아보았다.(되돌아보았다 → 뒤--, 참고로 둘 다 맞음)
52. 이불이 두텁다.(두텁다 → 두껍다)
53. 우리의 우정이 두껍다.(두껍다 → 두텁다)
54. 화장실 문을 두들기지 마라(두들기지 → 두드리지)
55. 개를 두드려 패는 것은 몹쓸 짓이다.(두드려 → 두들겨)

56. 나의 마음을 들어낼 수밖에 없었다.(들어낼 → 드러낼)
57. 사물함에서 책을 모두 드러냈다.(드러냈다. → 들어--)
58. 학원 가는 길에 우리 집에 들렸다 가자.(들렸다 → 들렀다)
59. 엄마의 공부하라는 등살에 괴롭다.(등살 → 등쌀)
60. 남의 눈에 띄이지 않게 놀러 갔다.(띄이지 → 띄지)

61. 역사적 사명을 띄고 태어난 가은이와 은우.(띄고 → 띠고)
62. 용돈이라야 1000원이 안된다.(용돈이라야 → --이래야)
63. 5학년이래야 이 문제를 풀 수 있다.(5학년이래야 → --이라야)
64. 항도 어린이로써 자부심을 갖자.(어린이로써 → --로서)
65. 죽음으로서 나라를 지킨 이순신 장군.(죽음으로서 → --로써)

66. 오늘 일을 모두 맞혔다.(맞혔다 → 마쳤다)
67. 문제를 모두 마추었다.(마추었다 → 맞추었다, 맞혔다.)
68. 저 물건들 중 내 모가지는 얼마나 될까?(모가지 → 모? ∞?
69. 닭의 모가치를 비틀어도 새벽은 온다.(모가치 → 모가지)
70. 나물을 맛있게 묻힌다.(묻힌다. → 무친다)

71. 땅에 무친 보물을 찾아라(무친 → 묻힌)
72. 독립 운동에 목숨을 받친 이육사 선생님.(받친 → 바친)
73. 우산을 바치고 겨우 소나기를 피했다.(바치고 → 받치고)
74. 자동차에 바치고도 살아 남았다.(바치고도 → 받히고도)
75. 가은이는 두 살박이다.(두 살박이 → 두 살배기)

76. 우리집 개는 점배기다.(점배기 → 점박이)
77. 내년에는 우리가 반듯이 우승하고 말겠다.(반듯이 → 반드시)
78. 그 아이는 코가 반드시 생겼다.(반드시 → 반듯이)
79. 그 녀석의 거짓말이 발개지고 말았다.(발개지고 → 발가지고)
80. 그 녀석은 부끄러워 발가지고 있었다.(발가지고 → 발개지고)

81. 고양이가 __를 베어 있었다.(베어 → 배어)
82. 낫으로 나무를 배고 있었다. (배고 → 베고)
83. 베개를 왜 배지 않고 자니? (배지 → 베지)
84. 다리를 힘껏 벌이고 있어라.(벌이고 → 벌리고)
85. 너는 쓸데없이 일을 많이 벌린다.(벌린다 → 벌인다)

86. 베개를 비고 누우니 편하구나.(비고 → 베고)
87. 꽃봉우리가 탐스럽다.(꽃봉우리 → 꽃봉오리)
88. 저 산봉오리를 넘어 가면 소풍 장소가 나온다.(산봉오리 → 산봉우리)
89. 방금 선생님께 편지를 붙이고 왔다.(붙이고 → 부치고)
90. 선생님께서 `학예회에 붙이는 글`을 읽어셨다.(붙이는 → 부치는)

91. 불우이웃을 돕자는 의견이 회의에 붙혀졌다.(붙혀졌다 → 부쳐졌다)
92. 우표를 봉투에 부쳤다.(부쳤다 → 붙였다.)
93. 미화부가 그림을 게시판에 부친다.(부친다 → 붙인다)
94. 싸움을 부치는 것은 비겁하다.(부치는 → 붙이는)
95. 종이에 불을 부친다.(부친다 → 붙인다)

96. 나는 요즘 일찍 일어나는 습관을 부치고 있다.(부치고 → 붙이고)
97. 잘 때 물을 많이 먹어 몸이 불고 말았다.(불고 → 붇고)
98. 채송화가 비스름하게 피어 있다.(비스름하게 → 비스듬하게)
99. 나와 동생은 생김새가 비스름하다.(비스름하다 : 거의 비슷하다)
100. 우리집 골목길은 비뚜로하게 나 있다.(비뚜로 : 비뚤어지게)

101. 나의 보짱은 흔들리지 않을 것이다.(보짱 : 꿋꿋하게 가지는 속마음, 배짱 : 굽히지 않는 힘)
102. 빗 : 머리 빗는 물건 / 빚 : 남에게 꾸어 쓴 돈 / 빛 : 광선. 빛깔, 모두 `빋`으로 소리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