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죽어서도 싸운다 - 최서림
죽은 자가 산 자를 위해
무덤에서 불려나와 대신 싸운다
산 자들이 죽은 자들의 말을 찾아내어 싸운다
삶은 죽어 썩어져도 말은 죽지도 썩지도 못한다
죽은 자의 말이 창이 되고 방패가 된다
왕권이냐 민본이냐 이방원과 정도전이
아직도 TV에서 싸우고 있다
미국식 자본주의냐, 제3의 길이냐 이승만과 조봉암이
지금까지 역사책 속에서 싸우고 있다
개발독재냐, 민주주의냐 박정희와 장준하가
프레스센터에서 살기 등등 핏대를 올리고 있다
세상은 말들의 싸움터
이긴 말이 패배한 말의 배를 밟고서 히히덕거린다
까맣게들 잊고 있다가
선거철만 되면, 좌우 할 것 없이 죄다
상주라도 되는 양 검은 옷들을 걸쳐 입고서
효창동 외진 김구 묘소를 찾는다
어치도 동박새도 민망한지 쓸쓸히 내려다본다
역사는 산 자의 전쟁터면서 죽은 자의 감옥이다
연극은 끝나도 막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관객들이 박수치고 고함지르며 일어나지 않는다
배우들이 퇴장하지도 못하고 엉거주춤 서 있다
계간 『리토피아』 2014년 겨울호
‘왕권이냐 민본이냐 이방원과 정도전이 아직도 TV에서 싸우고 있’지만 드라마에서도 보았듯 그것은 이방원의 집권야욕에서 비롯한 갈등관계였지 이념의 싸움은 아니다. 거슬러가서 정몽주와 정도전 사이의 갈등을 이념다툼으로 보는 시각도 있으나, 방법론이 다를 뿐 둘 다 성리학적 이상사회를 꿈꾸었던 개혁파로 친원정책을 고수한 수구보수 세력과 맞선 인물들이다. 영천에서 태어난 영일정씨 정몽주와 영주태생인 봉화정씨 정도전은 동년배로 고려말 성균관에서 목은 이색을 스승으로 모시고 동문수학한 벗의 관계였다.
삼봉과 포은은 사사로운 권력에 대한 욕심 없이 새로운 세상을 통해 백성들이 행복한 세상을 만들자고 다짐했다. 그런데 이방원과 정도전이 나눈 대화에 흥미로운 것이 있다. 이방원이 정도전에게 “당신이 품으면 정치고 내가 하면 사심인가”라면서 “이긴 자의 사심이 대의가 된다”고 했다. 그의 말은 불변의 진리처럼 오늘날까지 이어져왔다. 훈구파와 사림파가 서로 대립하면서 엎치락뒤치락하다가 선조 즉위 후 사림파가 권력의 주도권을 잡은 뒤로 사림세력은 동인과 서인으로, 서인은 다시 노론과 소론으로 내부분열을 거듭했다.
노론은 동인에서 분열된 남인을 괴멸시키고 독주 체제를 구축했다. 노론 일당 독재는 정조 사후 정권을 독차지하는 망국의 세도정치로 이어졌다. 1905년 외교권을 넘긴 을사오적 전원이 노론이고, 노론의 마지막 당수 이완용은 결국 당론으로 나라까지 팔아먹었다. 그래서 친일사학자 이병도에 의해 유포시킨 '당파싸움 때문에 조선이 망했다'는 말도 나왔다. 조선의 당쟁은 이조전랑(이조좌랑과 이조정랑) 자리를 두고 서로 차지하려는 다툼에서부터 출발하였고 그 시작은 퇴계 학파인 김효원과 율곡의 계보인 심의겸이었다.
이조좌랑은 정6품 이조정랑은 정5품에 불과했으나 지금으로 치면 청와대 인사수석과 민정수석을 겸한 꽃보직이었다. 정3품 이상 당상관이라도 길에서 전랑을 만나면 말에서 내려 공손히 인사할 정도라 한다. 김효원을 지지하는 세력을 동인으로 부른 것은 동대문 쪽에 그의 집이 있어서고, 심의겸 역시 서대문 방향에 집이 있어서였다. 그들이 학문적으로 떠받던 이황과 이이는 지금도 나란히 지폐인물로 ‘영향력’을 과시하고 있다. 이러한 붕당정치는 노론인 안동김씨의 세도정치가 가세하면서 부패의 극으로 치달았고 결국 나라를 잃었다.
해방 이후에도 ‘죽은 자의 말이 창이 되고 방패가 되’는 일은 끊이지 않았다. 좌우이념이 개입되어 다툼은 더욱 노골화되었다. 노론의 색채가 농후한 이승만정권도, 쿠데타로 집권한 박정희정권도, 터무니없는 전두환 노태우정권도, 부패와 무능의 이명박 박근혜정권도 권력을 지키기 위해 지배이데올로기를 강화했다. 노론벽파출신들이 그렇듯 자신의 영달을 앞세운 기회주의 사대주의자들이 판을 쳤다. 그들은 보수의 기치 아래 긴 세월 이 나라를 지배했다. 친일은 청산되지 않고 친일파재산환수법도 그들의 반대로 무산됐다. 그러나 지지율이 한 자리로 떨어졌다는 지금에야 비로소 궤멸의 조짐을 본다. 연극의 막이 내려질 날도 얼마 남지 않은 것 같다.
권순진
'좋은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몰이꾼과 저격수 - 문혜진 (1) | 2024.02.10 |
---|---|
기억은 어항이 아니라서 - 신현림 (1) | 2024.02.10 |
토막말 - 정양 (2) | 2024.02.10 |
독수리 시간 - 김이듬 (0) | 2024.02.10 |
찰옥수수가 익는 저녁 - 임동윤 (1) | 2024.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