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세이향기

문향이 넘나드는 선방입니다

좋은 수필

간수 / 박월수

에세이향기 2023. 3. 9. 11:58

간수 / 박월수

 

소금을 샀다.

포대를 열고 냄새를 맡아 보았다. 서해의 태양과 바람 냄새가 났다. 향기로웠다. 포대를 다시 묶으면서 보니 겉면에 소금기가 배어나와 눅진하면서 짭짤한 기운이 손바닥에 그대로 전해졌다. 창고 바닥에 플라스틱 상자를 깔고 그 위에 묵직한 소금 포대를 올려 두었다. 물기가 다 빠지려면 오래 걸릴 것 같은 예감이 들었다.

그날부터 포대 솔기에선 쉼 없이 소금물이 흘러내렸다. 저의 태생이 바다인 걸 잊지 않으려는 듯 똑똑 소리 내며 소금기를 뱉어냈다. 포대마다 그릇을 받쳐두었지만 언제 넘쳤는지 바닥이 흥건해지곤 했다.

어느 날부터 소금 포대 주변 시멘트 바닥은 늘 축축하게 젖어 있었다. 그 곁을 지날 때마다 내 맘은 이상하게 물 먹은 솜처럼 눅눅했다. 저를 길러 준 서해의 바람과 햇볕을 꽉 막힌 창고에 들여놓고 싶었다.

이곳 산골 사람들은 오래 묵혀둔 소금을 쓴다. 해마다 몇 포대의 소금을 사서 쟁여놓고는 오래 된 순서대로 장을 담그고 김장을 한다. 창고에서 갓 가져온 천일염을 쓰면 음식 맛을 버려놓기 십상이란다. 적어도 삼년은 묵혀두어야 간수가 제대로 빠져 소금에서 쓴 맛이 나지 않는단다.

나는 냉동식품을 쌓아놓는 것도 모자라 햇반을 쟁여놓고 살던 도시 아줌마였다. 풍경이 좋아 들어온 시골살이는 모든 게 낯설었다. 대대로 터를 잡고 사는 사람들이 보기에 나는 쉰을 바라보는 풋내기 새댁이었다. 할 줄 아는 게 없으니 그들이 하는 대로 눈치껏 따라했다.

살림을 좀 할 줄 안다는 소릴 우선 듣고 싶었다. 그래 겁도 없이 소금을 몇 포대 들여놓았다. 손이 적게 간다길래 뙈기밭에 콩도 심었다. 절반은 짐승이 와서 먹고 남은 절반은 거두어들이느라 죽을 고생을 했다. 팔이 아프게 콩을 터는데 이리 튀고 저리 튀어 도망가는 콩이 더 많았다. 콩 농사는 남은 평생 다시는 짓지 말아야지 하면서도 불룩한 콩 자루를 보니 의젓한 농부가 된 것 같았다.

농한기를 맞은 동네에선 수확한 콩으로 메주를 쑤고 남은 콩으로 두부를 만드느라 부산했다. 집집마다 소금 포대에서 받아 놓은 간수를 넣고 맛깔난 두부를 해 먹었다. 일머리에 어느 정도 자신이 생긴 나 역시 내가 만든 두부가 먹고 싶었다. 하지만 소금 포대에서 흘러나온 끈적한 물을 생각 없이 내다 버렸으므로 간수해 놓은 간수가 있을리 없었다. 이웃에 꾸러 가는 건 살림할 줄 모르는 아낙이란 걸 동네방네 소문내는 일이어서 그리할 수도 없었다. 하는 수 없이 없는게 없이 다 있다는 오일장에서 알갱이로 된 간수를 사다가 콩물을 굳혔다.

매끈하고 부드러운 이웃의 두부와 달리 내가 만든 두부는 씁쓰름하고 텁텁했다. 맛을 본 사람들은 어찌 알았는지 간수 탓이라고 입을 모았다. 화학 간수는 두부의 맛을 버린다는 거였다. 소금 포대에 머물러 있으면 소금 맛을 쓰게 만드는 간수지만 맛있는 두부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요긴한 물건이란 걸 어설픈 시골내기는 짐작조차 못 했다.

두 해가 지나자 젖어 있던 자리는 말끔해졌고 소금 포대는 더는 기억할 바다가 없는지 떨어지는 물소리도 잠잠했다. 시간의 위대함을 알려주려고 소금 포대는 내게로 온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을 잠깐 했었다. 어쩌면 나도 머지않아 완벽한 시골 아줌마가 될 것도 같았다. 하지만 그것은 어리석은 내 착각이었다.

이듬해 여름 장마가 시작되자 소금 포대 주변 바닥은 속으로 품었던 것들을 흥건히 뱉어냈다. 딱딱한 시멘트 바닥에도 기억이란 게 존재하는 모양이었다. 시멘트 바닥은 처음의 그 흔적만큼 축축하게 젖어있었다. 소금포대가 사라진 후에도 그 흔적은 여전할 것 같았다.

세 해가 지나자 소금 포대는 처음보다 홀쭉해져 있었다. 장을 담기 위해 포대 주둥이를 벌렸을 때 소금은 여러 개의 크고 작은 덩어리로 엉켜 있었다. 소금 알갱이에서 따로 떨어져 물이 되더라도 다시는 바다로 갈 수는 없다는 걸 알았을까. 악착같이 서로를 껴안았을 그들만의 시간이 내게로 옮아와 가슴 가운데를 묵직하게 눌렀다.

장마가 시작되면 창고 바닥은 속으로 머금었던 소금물을 잊지 않고 토해냈다. 바다에서 떠나와 소금 알갱이가 되고 다시 간수가 되는 과정에서 이로운 두부가 되지 못하고 창고 바닥으로 스며든 소금물의 흔적을 보는 건 마음이 짠해지는 일이었다.

소금기는 장마철이 시작되면 어김없이 그 흔적을 드러냈다. 둥글게 번져나간 소금바닥에 쪼그리고 앉아 나는 지난 일들을 떠올려 보곤 했다. 내 속에도 필요한 무엇이 되지 못하고 오래도록 아프게 웅크린 폐염전 같은 흔적이 있을까 하고.

 

 

'좋은 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섬돌 / 박양근  (0) 2023.03.09
우산/ 김애자  (0) 2023.03.09
소금꽃 뒤에 맺힌 열매들 / 박시윤  (0) 2023.03.09
배추를 여니 나비 외/김일곤  (1) 2023.03.09
오지요강 / 김애자  (0) 2023.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