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세이향기

문향이 넘나드는 선방입니다

좋은 수필

나무 이야기 / 이성복

에세이향기 2022. 7. 9. 18:39

나무 이야기 / 이성복


 수주일 전 아내와 동네 뒷산에서 배드민턴을 치고 내려오는 길에, 그리 크지 않은 소나무 밑둥치에 녹슨 쇠못이 촘촘히 박혀 있는 것을 보았다. 현수막 같은 것을 걸만큼 높은 위치도 아니었는데, 거기 왜 그렇게 많은 쇠못이 박혀 있는지 짐작이 가지 않았다. 손으로 그 못들을 잡아 돌려도 꿈쩍도 않아, 길 옆 돌 부스러기를 집어 못과 못 사이에 넣고 이리저리 돌려보니, 그 가운데 몇 개는 빠져 나왔다. 남은 대 여섯 개의 녹슨 못은 나중에 장도리를 가져와 뽑아 줘야지 하고는, 이 글을 쓰는 지금에서야 그 약속이 되살아난다.


 또 어느 해 가을인가는 묘사를 지내러 고향 선산에 올랐다가 녹슨 철사줄로 칭칭 동여맨 소나무 몇 그루를 보았는데, 비록 야산이기는 했지만 꽤 깊은 산중에 누가 무슨 일로 그런 짓을 했는지 알 수 없었다. 그 때도 몇 가닥은 풀어주었지만, 깊이 옥죄어 나무의 살과 한 덩어리가 된 녹슨 철삿줄을 잡아 빼기란 쉽지 않은 노릇이었다. 상처가 오래 되면 상처 준 것과 받은 것이 서로 살 섞어 한 몸을 이루는 것이니, 빽빽한 잡목림 속에서 발견하는 것이 나무의 일만은 아닌 듯 싶어 못내 마음이 편치 않았다.


 하기야 누군가 무슨 일로 그 나무들에게 못을 박고 철사줄을 동여맸으리라. 그러나 일이 끝나고서도 못과 철사줄을 걷어낼 생각이 아예 없었으니, 어떤 기약도 없는 세월 동안 제 몸의 상한 자리를 바라보고 견디어야 하는 나무들의 심사는 어떤 것이었을까. 나에게는 심하게 비틀린 나무들의 상처 그것보다, 물끄러미 제 상처를 바라보고 견디어야 하는 나무들의 희망 없음이 더 고통스럽게 느껴졌다. 어쩌면 나무들은 내가 느낀 그 고통을 애초에 느껴본 적이 없으며, 또 어쩌면 나무들의 고통을 생각하는 나의 고통이 더 고통스러웠을지도 모른다.
(언젠가 아이들을 야단치고 나면 자기 전에 꼭 풀어주고 재워야겠다는 생각을 한 것도 비슷한 까닭에서였을 것이다. 녀석들이 아직 어렸을 때, 깊은 밤중에 깨어보면 몹시 혼나고 매까지 맞은 아이가 불도 안 끄고, 맨바닥에 팔을 위로 뻗힌 채 옹크리고 잠들어 있었다. 아이는 많이 울다 제 서러움에 지쳐 잠들었을 테지만, 꿈속에서도 삭지 않은 괴로움과 노여움으로 시달릴 것을 생각하면 잔상한 마음이 없지 않았다. 이를테면 그것은 다리에 쥐가 난 상태로 헤엄을 치는 것과 같아서, 맺힌 마음을 풀어주기 전에는 아이의 잠이 편할 리 없다.)


 하기야 내가 못을 빼주고 쇠줄을 벗겨준 나무는 한두 그루에 지나지 않고, 내가 아는 혹은 모르는 그 비슷한 처지의 나무가 어디 한두 그루 뿐이겠는가마는, 그런 생각을 할 때마다 쉽게 잊혀지지 않는 이야기가 있다. 끝없는 바닷가에서 파도에 밀려온 불가사리들을 집어 바다로 돌려보내는 한 노인에게, 누군가 세상엔 이런 불가사리가 한둘이 아닐 것이니 무슨 소용이냐고 묻자, 노인은 '그래도 이 불가사리에게는 세상 전부'라고 했다는 것이다. 그처럼 별다른 생각 없이 보살펴 준 나무들 하나 하나에게 내 보살핌은 세상 전부의 일이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달리 생각해보면 그 몇 그루 나무들에 대한 나의 보살핌은 수없이 많은 다른 나무들에 대한 무감각과 무의식적인 해꼬지에 비해 빙산의 일각일지도 모른다. 어쩌면 그러기에 그 보살핌이 나의 뇌리에 더욱 깊이 각인되었는지도 모른다. 가령 동네 뒷산에서 아내와 내가 제일 좋아하는 운동기구는 아카시아 생목을 베어 두 나무 사이에 철삿줄로 고정시켜 놓고, 그 위에서 발을 구르게 해 놓은 것이다. 내가 뜀뛸 때마다 아카시아나무는 미친 듯이 춤추고, 나무와 나무가 부딪치는 자리는 수없이 닳아 사포로 갈아놓은 듯 깊이 패였다.


 또 언젠가 '나는 생명이요 길이었으니' 어쩌구 하는 성가를 흥얼거리며 산 속 배드민턴장 근처를 지날 때, 런닝 차림의 사내 둘이 히히닥거리며 제법 굵은 나무 하나를 톱으로 베어내고 있었다. 하도 황당하고 기가 막혀서 왜 멀쩡한 나무를 그러느냐고 따져 물었더니, 이 놈의 아카시아 나무 때문에 옆의 소나무가 자라지 못해서 그런다고 말했다. 나는 '아, 그렇군요' 하고 안도의 웃음을 지으며 내려왔지만, 그 후로도 잘린 나무의 무표정한 둥치를 지날 때마다, 그날 톱질이 덜 된 채 서서히 기울어지던 나무의 푸른 몸체를 잊을 수 없다.


 그러니 고통받는 나무들에 대한 어설픈 연민으로 무얼 어쩌겠다는 건가. 오만 가지 기이한 모양으로 비틀어 분재해 놓은 나무를 보면 너무 잔인해서 토할 것만 같아도, 화분에 식물을 키우거나 병에 꽃을 꽂는 것 또한 정도 차이는 있지만 마찬가지 잔인한 일이 아닌가. 예나 지금이나 사람 곁에서 당하는 것이 소나 닭뿐이겠는가. 대체 사람과 함께 있는 것들은 대대로 저주받은 종족이어서, 그들이 스스로 깨닫기 전에는 그 저주로부터 풀려날 길 없으며, 그리하여 그들의 저주는 영원히 완성된다.


 이맘때 나는 흔히 '호랑이 꼬리'라고 불리는 포항 장기곶 바닷가 보리밭 사이의 다섯 그루 소나무를 생각한다. 그 나무들이 이루는 풍경은 보이지 않는 손이 아니고서는 이룰 수 없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절묘한 것이다. 눈이 없는 나무들이 단지 서로를 알고 느끼면서, 서로의 몸으로 이루어낸 그 아름다운 풍경을 나무들 자신은 결코 보지 못하리라. 어쩌면 볼 필요조차 없으리라. 머지 않아 그곳에도 개발의 붐이 일어 소나무들이 베어지고 만화의 성곽 같은 조잡하고 유치한 러브호텔들이 들어서리라.

'좋은 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벌레 먹은 잎을 읽다/권정희  (0) 2022.07.25
점등인이 켜는 별 / 이정화  (0) 2022.07.15
다듬이질/이진영  (0) 2022.07.05
내 유년의 울타리는 탱자나무였다/나희덕  (0) 2022.07.02
양푼 예찬 / 이은희  (0) 2022.06.16